토목
-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시 고려사항토목 이야기 2021. 5. 20. 08:16
설계사에서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워라벨을 높이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 이직자 중에는 몇 개월 다니지 못하고 그만두거나 다시 이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충분히 알아보고 이직을 결심하는 것이 좋다. 생각보다 수월하지 않은 업무 강도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하고 나서 놀라는 경우는 업무강도가 생각만큼 약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지역별 편차가 아주 크다. 대규모 개발이 일어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시설직 공무원의 업무 강도 차이는 조금 과장하여 비교하자면 턴키 합사와 본사와의 차이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대규모 개발이 일어나는 지역에서의 근무가 턴키 합사와 비교할 정도라는 것이 아니라 정도의 차이..
-
토목구조기술사 준비카테고리 없음 2021. 3. 22. 18:46
토목구조기술사 취득한지 몇 년이 지났다. 준비하는 동안 힘들었지만 취득 후의 기쁨이 크고, 회사 생활에서 인정을 받고 있어 기술사 취득을 적극 권하고 있다. 기술사를 준비하고자 하는 입문자에게 경험 공유를 통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적어본다. 토목구조기술사가 요즘 응시인원이 약 120명 정도이고, 2021년 1차 시험에서 필기 합격자는 25명이었다. 응시 인원은 전에도 그렇게 계속 120명 정도가 유지되고 있는것 같다. 합격자는 매회 10명 정도이지만 가끔 20명 이상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험을 계속 봐야한다. 처음 준비하고자 하는 이들이 가장 고민 하는것은 뭘(무슨 책)로 어떻게 공부할까이다. 정답은 없다. 경험에 의하면 아무 책이나 한권 잡고 보면 된다. 주변에 기술사 합격자가 있다면 정리된..
-
시설직 공무원과 설계사 연봉 비교토목 이야기 2021. 3. 18. 18:37
최근 설계사와 시공사에서 8, 9급 공무원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 동안의 경력을 포기하면서 말단 공무원으로 이직을 결심하는 원인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연봉 차이가 크지 않거나, 조금 적게 벌어도 생활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도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시설직 공무원과 설계사의 개략적인 연봉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정확한 금액은 회사와 개인의 상황(수당, 자격증)에 따라 크게 차이가 발생하므로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경향정도로 생각해 참고용으로 봐야 한다. 공무원 월급1. 기본급(2021년) 2. 설 추석 명절 휴가비설과 추석에 기본급의 60%씩 지급 3. 정근수당1월과 7월에 지급1년 이상 5%, 2년 이상 10% 근무년수 1년에 5%씩 증가하여 10년 이상 50%까지 증가 4. 가족..
-
2021년도 제1회 경기도 시설직 경력경쟁 필기시험 합격자토목 이야기 2021. 3. 18. 07:16
2021년도 제1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필기시험 합격자가 3월 17일에 발표되었다. 그 중 시설9급(일반토목)은 접수인원 678명중 493명이 응시해 결시률 27%, 합격자는 138명으로 응시인원 대비 합격률은 28%를 기록했다. 선발예정인원이 210명이었으나 예정인원의 66%인 138명만이 필기시험에 합격하였다. 선발예정인원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김포가 32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예정이고, 이천과 평택이 16명, 오산 15명, 안산 14명, 그 외의 지역이 10명 이하이다. 과천이 1명 선발 예정으로 가장 적다. 선발예정인원 차이로 응시자 수도 차이가 많이 발생했다. 김포시가 가장 많은 인원인 61명이 응시했고, 과천시가 가장 적게 2명이 응시했다. 경쟁률은 구리시와 의정부시가 ..
-
토목 진로 이야기토목 이야기 2021. 3. 13. 04:53
토목분야로 진로를 정하고 입사를 하고 1~2년 정도 다니면서 본인이 생각했던 것과의 괴리감에 고민하다가 다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심지어는 10년 정도 다니던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는 아직 진로를 정하지 못 하였거나 고민 중인 분들이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토목분야 진로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학계/연구소 2. 공무원 3. 공사/공단 4. 시공사 5. 설계사 6. 감리 1. 학계/연구소학계/연구소를 선택하는 경우는 이미 석/박사를 하면서 진로를 정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2. 공무원보통 시설직 공무원을 말한다. 교육이나 기타 분야에서도 뽑는 경우도 있지만 인원수가 1~2명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