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시 고려사항토목 이야기 2021. 5. 20. 08:16
설계사에서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워라벨을 높이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 이직자 중에는 몇 개월 다니지 못하고 그만두거나 다시 이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충분히 알아보고 이직을 결심하는 것이 좋다. 생각보다 수월하지 않은 업무 강도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하고 나서 놀라는 경우는 업무강도가 생각만큼 약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지역별 편차가 아주 크다. 대규모 개발이 일어나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시설직 공무원의 업무 강도 차이는 조금 과장하여 비교하자면 턴키 합사와 본사와의 차이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대규모 개발이 일어나는 지역에서의 근무가 턴키 합사와 비교할 정도라는 것이 아니라 정도의 차이..
-
시설직 공무원과 설계사 연봉 비교토목 이야기 2021. 3. 18. 18:37
최근 설계사와 시공사에서 8, 9급 공무원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 동안의 경력을 포기하면서 말단 공무원으로 이직을 결심하는 원인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연봉 차이가 크지 않거나, 조금 적게 벌어도 생활에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도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시설직 공무원과 설계사의 개략적인 연봉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정확한 금액은 회사와 개인의 상황(수당, 자격증)에 따라 크게 차이가 발생하므로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경향정도로 생각해 참고용으로 봐야 한다. 공무원 월급1. 기본급(2021년) 2. 설 추석 명절 휴가비설과 추석에 기본급의 60%씩 지급 3. 정근수당1월과 7월에 지급1년 이상 5%, 2년 이상 10% 근무년수 1년에 5%씩 증가하여 10년 이상 50%까지 증가 4. 가족..
-
2021년도 제1회 경기도 시설직 경력경쟁 필기시험 합격자토목 이야기 2021. 3. 18. 07:16
2021년도 제1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 필기시험 합격자가 3월 17일에 발표되었다. 그 중 시설9급(일반토목)은 접수인원 678명중 493명이 응시해 결시률 27%, 합격자는 138명으로 응시인원 대비 합격률은 28%를 기록했다. 선발예정인원이 210명이었으나 예정인원의 66%인 138명만이 필기시험에 합격하였다. 선발예정인원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김포가 32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예정이고, 이천과 평택이 16명, 오산 15명, 안산 14명, 그 외의 지역이 10명 이하이다. 과천이 1명 선발 예정으로 가장 적다. 선발예정인원 차이로 응시자 수도 차이가 많이 발생했다. 김포시가 가장 많은 인원인 61명이 응시했고, 과천시가 가장 적게 2명이 응시했다. 경쟁률은 구리시와 의정부시가 ..
-
설계사에서 시설직 공무원으로 이직 현상토목 이야기 2021. 3. 14. 08:15
요즘 시설직 공무원(서울, 지방직)으로의 이직을 준비하거나 성공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공무원 선호에 대한 이유가 가장 큰 이유겠지만, 그 외에도 다른 이유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이유로 그 동안의 경력을 손해보면서 9급 공무원으로의 이직을 준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시설직 공무원의 채용 인원 증가서울시 및 지방의 시설직 공무원(9급)의 채용인원이 크게 증가하였다. 서울시의 경우 20, 21년 연속으로 100명 이상을 뽑고 있고, 지방직도 많은 인원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토목과 졸업생이 줄어들고 있고, 졸업생들도 일부는 다른분야로 취업을 하거나 공사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9급 시설직 공무원에 대한 경쟁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직을 하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