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토목 구조물(교량 등) 설계시 철근 강도 적용 방안토목 설계 기준 2022. 12. 12. 20:50
1. 개요 교량 및 구조물 설계시 철근 강도는 일반적으로 SD300, SD400, SD500을 적용한다. 이 중 어떤 것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확인해 본다. 2. 철근 적용 강도 1) SD300 (fy=300MPa) SD300은 항복강도가 300MPa인 철근이다. SD300 철근은 최근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하지 않는다. 이유는 SD300 철근 생산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관급자재에서 SD300철근 자체가 없다. 2020년 초반까지만 해도 옹벽이나 수로 암거 등에는 SD300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현재는 전혀 적용하지 않고 있으므로 설계시 주의 해야 한다. 2) SD400 (fy=400MPa) SD400은 항복강도가 400MPa인 철근이다. 지금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발주..
-
전단설계 적용방안토목 설계 기준 2022. 10. 12. 10:36
1. 개요 한계상태설계법에서 전단 설계법은 기존의 강도설계법과 달라 설계시 혼동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리해 놓고자 한다. 2. 전단 설계 설계기준 및 지침 2.1 KDS 24 14 21 : 콘크리트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4.1.2.1 (5) 작용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의 전단력 Vu가 콘크리트 설계전단강도 Vcd보다 작은 구간에는 전단철근량 계산이 불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4.6.2에 따른 최소전단철근량을 배치하여야 한다. 2.2 한계상태설계법 도입에 따른 전단설계 적용방안 검토, 2018.4, 한국도로공사 주거동이 휨안 판 부재는 최소전단철근 배치 필요 없음. 2.3 콘크리트 구조기준(강도설계법) 슬래브와 확대기초 또는 교대 벽체나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거동인 판 부재를 제외하고 최소전단철근 필요..
-
영화 비상선언카테고리 없음 2022. 9. 19. 06:43
주연 송강호, 이병헌, 임시완, 전도연, 김남길 감독 한재림 생화학 테러로 인해 비행기 내부에 갇힌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내부에서는 증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들간의 갈등이 있고, 외부에서는 구하려는 사람과 구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갈등을 보여 준다. 결국에는 내부와 외부의 갈등이 해소된다. 사회의 통합과 의견수립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그래서 언론과 정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느낄 수 있었다. 한번쯤 보기에 좋은 영화였다. 재미도 있고, 생각할 거리도 있었다. 평점 4.0/5.0
-
마이다스 관련 사항토목 설계 기준 2021. 11. 16. 08:36
마이다스로 교량 모델링할 경우 어떻게 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교량의 형식 및 형상 등의 현황과, 설계자의 생각과 노하우에 따라 다르게 된다. 그래도 처음 접하게 된다면 다른 사람은 이렇게 하는구나 하는 참고는 될 수 있을 것 같아서 내용을 적어 본다. 1. 모델링 보통 CAD로 그려진 일반도 및 종평면도를 가지고 모델링을 한다. 이 때, 교량의 좌표를 가지고 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1) 마이다스에서 직접 좌표를 입력하여 노드 및 요소 생성 2) 캐드 파일을 DXF로 저장해서 마이다스에서 불러오기를 통해 노드 및 요소 생성 3) 캐드에서 좌표를 excel로 불러와서 MCT파일 추가로 마이다스에서 노드 및 요소 생성 1)번의 방법은 아주 단순한 구조일 경우 효과적이다. 단순보 등을 끝점..
-
Minimum support length토목 설계 기준 2021. 10. 28. 08:36
1. Partitions for seismic design categories A, B, C and D (SDC) SD1 값에 따라 A~D로 구분된다. 여기서 SD1은 다음과 같다. 2. Minimum Support Length 2.1 SDC A, B and C 교량의 연장과 교각의 높이에 대한 식으로 국내 도로교 설계기준과 동일하다. 2.2 SDC D SDC D의 교량은 지진에 의한 영향이 크므로 위의 식처럼 지진시 발생 변위량으로 계산하도록 제사하고 있다. 이때 지진시 변위량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는 설계자가 적절하게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SHA토목 설계 기준 2021. 7. 19. 21:54
결정론적 지진위험 분석 (DSHA; determin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DSHA 기법은 부지 근처의 알려진 지진 소스와 활용가능한 역사 지진 및 지질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부지에서의 분명한 단일 이벤트 또는 지반운동 모델을 생 성한다. 전형적으로 해당 부지에서 가장 큰 지반운동을 야기하는 하나 혹은 다중 지진은 부지에 대한 규모와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해당 부지에 가장 가까운 소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지 지반운동 파라메터들(최 대 지반 가속도; PGA, 최대 지반 속도, 스펙트럼 강도, 강진 지속시간)은 규모, 소스 에서 부지까지의 거리, 부지 조건등에 대해 감쇠 관계와 이론적 모델을 적용하여 각 소스에 대해 결정론적으로 추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