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한계상태설계법에서 전단 설계법은 기존의 강도설계법과 달라 설계시 혼동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리해 놓고자 한다.
2. 전단 설계 설계기준 및 지침
2.1 KDS 24 14 21 : 콘크리트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4.1.2.1 (5) 작용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의 전단력 Vu가 콘크리트 설계전단강도 Vcd보다 작은 구간에는 전단철근량 계산이 불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4.6.2에 따른 최소전단철근량을 배치하여야 한다.
2.2 한계상태설계법 도입에 따른 전단설계 적용방안 검토, 2018.4, 한국도로공사
- 주거동이 휨안 판 부재는 최소전단철근 배치 필요 없음.
2.3 콘크리트 구조기준(강도설계법)
- 슬래브와 확대기초 또는 교대 벽체나 날개벽과 같이 휨이 주거동인 판 부재를 제외하고 최소전단철근 필요
3. 전단 철근 상세
- KDS 24 14 21, 4.5.4.6 스터럽 띠철근의 정착
스터럽, 띠철근의 정착 4. 적용방안
- 가급적 콘크리트 설계전단강도가 작용 전단력 이상이 되도록 설계
- 단면 슬림화가 필요하거나, 단면 확대가 불합리한 경우에는 전단 철근을 배치하는 설계
- 최소전단철근 배치 여부(도로공사 방침 자문의견, 도로공사 과업이 아닐 경우 설계자 판단 필요)
Vcd >= Vu
보 부재 : 최소 전단철근 배치
교대 기초, 벽체, 날개벽, 교각 기초, 옹벽 기초, 벽체 등 주거동이 휨인 판 부재 : 최소전단철근 미 배치
- 철단철근 상세
"전단설계 적용방안 검토, 한국도로공사" '토목 설계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 구조물(교량 등) 설계시 철근 강도 적용 방안 (0) 2022.12.12 마이다스 관련 사항 (0) 2021.11.16 Minimum support length (0) 2021.10.28 PSHA (0) 2021.07.19 AASHTO LRFD, 8th Edition, 2017 : RC 휨검토 (0) 202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