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정론적 지진위험 분석 (DSHA; determin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DSHA 기법은 부지 근처의 알려진 지진 소스와 활용가능한 역사 지진 및 지질 데이터를 사용하여 해당 부지에서의 분명한 단일 이벤트 또는 지반운동 모델을 생 성한다. 전형적으로 해당 부지에서 가장 큰 지반운동을 야기하는 하나 혹은 다중 지진은 부지에 대한 규모와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해당 부지에 가장 가까운 소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부지 지반운동 파라메터들(최 대 지반 가속도; PGA, 최대 지반 속도, 스펙트럼 강도, 강진 지속시간)은 규모, 소스 에서 부지까지의 거리, 부지 조건등에 대해 감쇠 관계와 이론적 모델을 적용하여 각 소스에 대해 결정론적으로 추정된다.
확률론적 지진위험 분석 (PSHA;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기법은 DSHA 요소들에 더하여 주어진 규모에서 지반운동이 발생할 확률 에 대한 평가를 추가한다. 각각의 중요한 지진 소스에 대한 다근 규모 지진의 발생 확률 또는 발생 빈도와 본질적인 불확실성을 해석에서 직접적으로 고려한다. 소스 의 어떤 부분에서 (부지에서 최단거리를 포함하여) 각각의 규모 지진의 발생 가능성 은 직접적으로 PSHA에 포함된다. PSHA의 결과는 구조물의 사용 기간 동안 주어진 파라메타 수준이나 주어진 재현주기를 초과하는 확률에 근거하여 설계지진 지반운 동 파라메터들을 선택하는데에 사용된다. PSHA 기법의 결과는 또한 규모와 거리 (혹은 특정 지진 소스들)의 어떤 조합이 위험에 가장 큰 영향인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지배적인 지진의 식별은 시나리오 또는 DSHA 해석에 적용될 수 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 적용하는 값은 PSHA에서 groundsurface에서의 값을 적용한다. 보고서 결과 AASHTO에서 제시하고 있는 응답스펙트럼보다 더 큰 값으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단층대와의 방향에 따라 수평과 수직으로 나뉘어서 결과가 정리되었다. PSHA를 적용하는 것은 처음이라 정확한 반영에 대해서는 협의와 공부중이다.
'토목 설계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다스 관련 사항 (0) 2021.11.16 Minimum support length (0) 2021.10.28 AASHTO LRFD, 8th Edition, 2017 : RC 휨검토 (0) 2021.03.29 보도교 설계기준 (2) 2021.03.24 교대 설계시 고려사항 (0) 2021.03.15